카테고리 없음

하이브리드 자동차 원리 단점

케쵸툐 2019. 9. 2. 10:45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기자동차의 엔진과 내연엔진을 동시에 장착하여서 2개의 엔진으로 굴러가는 자동차를 의미합니다. 시속 40km 이하에서는 전기로만 굴러가게 되어서 그때 주행시에는 엔진소음이 아예 없어서 주변에 지나가도 모를정도인데요. 작동 원리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자동차가 감속하면서 브레이크를 밟거나 경사면을 내려올 때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변환시키는 것입니다. 원래는 버려졌던 에너지를 이런식으로 활용하다니 과학의 발전이 놀랍기는 합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원리


하이브리드란 의미는 혼합했다는 말인데요. 말그대로 엔진이 2개 들어있어서 그런 이름이 붙은것입니다. 전기차처럼 충전소가 따로 필요하지 않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집에서 전기를 충전하기는 하지만 이 모델과는 조금 원리가 다르다고 볼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연비가 50%정도 가솔린 차량에 비해서 장점이 있고 정부에서는 보조금을 주거나 세금 감면 혜택을 지원해주는데요. 취득세나 주차장 할인 등 나라에서도 친환경 자동차를 밀어주는 움직임이 보여집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단점


무조건 좋은점만 있지는 않고 기존 차량에 비해 단점이 있는데요. 하이브리드 차량은 원래 차보다 10~20퍼센트정도 더 높은 가격이 책정되는데 배터리와 모터때문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사고가 났을 시에는 엔진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수리비용이 더 비쌀수밖에 없고 정비를 한번 하려고해도 보통차보다 비싼 돈이 듭니다. 그리고 트렁크가 조금 더 작은데요. 실내 크기는 하이브리드 모델이나 차이가 없으나 트렁크쪽에 충전되기 위한 배터리가 추가되다보니 짐을 싣기에 조금 더 부족한 감이 있습니다. 장단점을 고려해서 짐크기는 상관없고 유지비를 절약하고 싶으시다면 하이브리드 차 구매를 생각하는것도 괜찮다고 봅니다.